본문 바로가기

Youtube Clone Coding

Routers

일단 라우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기에 느낀대로만 써보려 한다.

홈페이지 주소 뒤에 붙이는 /users/comments 등등의 것들을 라우터라고 부르는것 같다.(정확한 개념은 추후에 공부하자)

홈페이지에서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는, 예를들어 로그인하기, 회원가입하기, 검색하기 등등의 라우터들은 global 라우터 라고 만들 수 있다.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. (Express를 이용함)

const globalRouter = express.Router();     
const userRouter = express.Router();
const videoRouter = express.Router();

이렇게 되면 일단 라우터들을 만든것이다. globalRouter는 말그대로 위에 설명한 것이고, userRouter 와 videoRouter 은 각각 유저에 관한 라우터, 비디오에 관한 라우터이다. 

app.use("/videos", videoRouter);
app.use("/users", userRouter);
app.use("/", globalRouter);

이렇게 작성하면 이제 브라우저는 각각의 라우터를 이해 할 수 있게 된다. 이제 사용자가 /videos 로 시작하는 페이지로 가려 하면 videoRouter에 있는 컨트롤러를 찾게끔 한다. 다른 것도 마찬가지이다.

 

const globalRouter = express.Router();
const handleHome = (req, res) => res.send("Home");
globalRouter.get("/", handleHome);

const userRouter = express.Router();
const handleEditUser = (req, res) => res.send("Edit User");
userRouter.get("/edit", handleEditUser);

const videoRouter = express.Router();
const handleWatchVideo = (req, res) => res.send("Watch Video");
videoRouter.get("/watch", handleWatchVideo);

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한다면, /users/edit 과 /videos/watch 에 갈 수 있게된다. 

'Youtube Clone Cod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ug  (0) 2022.11.02
Export & Import  (0) 2022.11.01
Morgan (middleware)  (0) 2022.10.31
Middlewares  (0) 2022.10.30
Controllers  (0) 2022.10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