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Vector
쉽게 말해 C에서의 배열과 비슷하다. 다만 배열은 한번 크기를 고정하면 수정하기 어려운 반면, 벡터는 동적으로 이를 조절 할 수 있다. 말 그대로 '동적 배열구조 클래스' 이다.
2. 선언
- 헤더파일 <vector>에 있다. #include <vector> 필수임.
- 선언 방식은 vector<자료형> 변수명; 이다.
ex) vector<int> v;
-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도 가능하다.
1. vector<자료형> 변수명 (개수);
2. vector<자료형> 변수명 (개수,초기화 값);
ex) vector<int> v(10,0); -> 10개의 공간을 0으로 초기화 함!
++ 이때 초기화 값은 디폴트 값이 있다. (int는 0, char은 스페이스 라고함)
3. 멤버 함수
- v[idx] : 배열에서의 접근 방법과 같다.
- v.front() : 벡터에서 맨 앞의 원소를 리턴한다.
- v.back() : 맨 뒤의 원소를 리턴 한다.
- v.clear() : 메모리는 냅두고 원소만 전부 지운다. (size는 줄어들고 capacity는 그대로)
- v.push_back() : 뒤에서부터 원소를 추가한다.
- v.pop_back() : 뒤의 원소를 없앤다.
- v.begin() : 벡터의 시작 주소를 반환하는 느낌 (iterator)
- v.end() : 벡터의 마지막 주소를 반환 하는 느낌 (iterator)
- v.size() : 원소의 개수를 리턴한다.
- v.empty() : 벡터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 을 리턴한다.
'C++ ST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emset 과 최대 최소 (0) | 2022.04.03 |
---|---|
C++ pair클래스 (0) | 2022.03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