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rver
서버는 항상 켜져있고,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, 사용자들의 request 를 listening하고 있는 컴퓨터 이다. 이때 request 는 사용자들이 서버에 말 그대로 요청하는 것들이다. 어딘가의 페이지로 이동하는 클릭, 결제 요청 클릭, 등등....
서버를 사용하기 위해 일단 다음의 코드가 필요하다.
위처럼 express 함수를 호출하면 express 는 express application 을 사용할 수 있게 반환해준다.
서버는 컴퓨터의 특정 창구로 연결되고 그 창구를 통해서 사용자들의 요청을 들을 수 있게되는데 이것이 port 이다. port는 4000으로 쓰는것이 백엔드의 관습이기도 하고 4000은 거의 항상 열려있다고 한다.
위의 코드가 express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드는 방법이다.
서버에게 request 를 보내는 방법은 url 을 이용하는 것이다. url 을 건드려서 특정 페이지로 넘어가겠다는 요청을 보내는 것이다. / <= 이것은 root page 이다. 따라서 아무것도 없는 서버를 키게되면 "CANNOT GET /" 가 뜨게 되고 이는 메인 페이지(root page) 를 가져올 수 없다는 의미이다. 여기서 / 이나 /login, /lectures 등과 같은것들을 route 라고 한다.
app.get() 을 사용할 수 있는데, 이는 두개의 인자를 필요로한다. 첫번째는 route, 두번째는 이후에 실행할 함수이다.
app.get("/", () => console.log("home"));
을 실행 한다면, 브라우저는 / 로 가게끔 만들고 콘솔창에 home을 찍는다. 하지만 return 값이 없기때문에 브라우저는 계속 대기만 한다.
'Youtube Clone Cod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outers (0) | 2022.10.31 |
---|---|
Morgan (middleware) (0) | 2022.10.31 |
Middlewares (0) | 2022.10.30 |
Controllers (0) | 2022.10.30 |
기본적인 Setups (0) | 2022.10.30 |